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최근 5명의 사망자를 낸 이천 병원건물 화재 사고와 관련, 8월 한 달간 경기지역 의원급 혈액 투석 의료시설 109곳을 전수 긴급 소방점검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소방점검은 소방관서 소방안전특별점검단이 투입돼 비상구 폐쇄, 소방시설 차단, 안전관리자 의무사항 등 위법사항을 단속하고, 수용 인원과 피난층, 피난 동선 등 피난 여건 현지 확인 실태조사를 벌인다.
경기지역 혈액 투석 의료시설은 총 248곳으로, 이 가운데 의원급은 109곳이다. 4층 이상 위치한 곳이 60곳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한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또 이들 혈액 투석 의료시설을 대상으로 피난 계획 작성, 환자 특성을 고려한 피난 방법, 피난 설비 활용 등 초기 화재 대처 방법을 알려주는 현지 지도 활동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초기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해 의원 관계인 중심 피난 훈련을 1회 이상 실시하고, 고가·굴절차 등을 활용해 진입창 확인과 건물 내 구조자 구조 방안 등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밖에 오는 9월 중에는 노인과 장애인, 정신 질환 등 피난 약자시설 2천632곳 중 피난 고위험 대상을 선별해 피난 약자 이용시설 안전 실태조사도 추진할 예정이다.
남화영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은 “이번 이천 화재 사례를 통해 환자 등 피난약자 이용시설에 대한 피난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피난약자 이용시설에서 화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환자 특성과 병원 입주 층수 등 피난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피난 안전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