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

뉴타운 종합
원미 뉴타운
소사 뉴타운
고강 뉴타운
재개발ㆍ재건축
개발프로젝트
택지개발
보금자리주택
역세권 개발
아파트 리모델링
중ㆍ상동신도시
경인/부천 운하

탑배너

부천시, 상동 영상문화단지 개발 최종 용역 [자료]
 
더부천 기사입력 2012-11-12 17:52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10297
| AD |
부천시 원미구 상동 529-2 582,957㎡ (약 17.6만평)
-영상단지 10만평, 호수공원 5.5만평, 광장 0.4만평, 유수지 1만평, 도로 0.7만평

자연녹지지역 100%
- 건폐율 30%, 용적률 100%이하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과밀억제권역, 문화산업진흥지구 5개의 도시계획시설로 구성
- 유원지, 유수지, 공원, 광장, 도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6,542㎡(영구시설)
한옥마을 3,766㎡
복합문화공간(서커스) 11,371㎡
아인스월드 58,566㎡ 2020년 2월
전면부 상가 2,007㎡ 2025년 4월
캠핑장 및 문화동산 113,248㎡ 임시시설
주차장 등 114,763㎡
---------------
주변지역 및 시장분석

문화관광자원 분포 : 경기, 인천을 아우르는 서부지역의 문화관광벨트 중심축 기대
산업집적화 단지 분포: 대부분 사업이 신도시 개발 및 업무지구 특성화 차원에서 추진

▪자유로, 서울외곽순화로 등 접근이 용이한 도로를 중심으로 문화관광자원 분포
▪방송/영화 등 미디어 산업의 단지형과 벤처/연구소 등 기술중심의 복합 업무형으로 구분

관광객 집객과 지역주민 방문률 제고를 위한 대응 전략 필요
- 숙박기능 도입, 쇼핑/테마 등 복합단지화, 여가/휴양/레저 기능 강화 등

기업유치 및 사업실행력 강화를 위한 대응전략 필요
- 토지분양 사례 : 경기침체, 높은 분양가, 낮은 선호도
- 시설임대 사례 : 도심 입지로 높은 비용, 낮은 집적효과

------------
부천 영상문화단지 매력성

입지 강점: 다수 CT기업 수도권 소재+배후도시의 대규모 여가/관광 잠재수요+도로/철도 등 편리한 접근성

- 부지 확보(시유지)로 투자비 부담 감소
- CT기업 이전 및 대규모 여가/관광수요 창출 가능(CT산업과 문화의 연계를 통한 거점역할 기대)

CT산업 집적화 기지 구축(산업 전문화)
→ 유사 및 연계 업종별 집적화(구역 구분)
→ 만화, 에니메이션, 캐릭터 등 창작콘텐츠 중심으로 경쟁시설과 비교우위 확보
→ 기 구축 인프라를 활용한 관련 산업 집중화 유도

산업+여가/관광의 복합화(산업 + 여가/관광 활성화 = 집객력 확보)
→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 구조의 공간 조성
→ 도심공원 + 상업 연계로 복합형 위락공간 조성

사업 추진 성과 제고 및 실행력 강화(단계별/주체별 사업추진으로 안정적 구도 마련)
→ 공공주도의 초기 사업 추진 : 기반조성, 저렴한 임대료, 업종별 지원체계 구축 등
→ CT기지 : 확장성을 전제로 민간참여 기회 제공

- 교통, 주거, 상업 등 인프라 기 구축
---------------
개발방향

-CT산업 클러스터 존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개임, 영화, 방송/드라마 등
CT기업 입주(제작), R&D(산학연)아카데미, 지원시설 및 비즈니스센터, 영상문화인마을(거주/창작)- 콘텐츠 생산

-문화관광 + 파크가든 존

호텔, 쇼핑, 체험, 공연, 위락, 문화/생태공원 등
CT산업 체험(홍보/체험관), 테마거리/상가/문화공연, 숙박/위락시설, 생태공원/녹지광장- 콘텐츠 소비
*CT기업 입주, R&D/인력양성, 유통/마케팅 등 기업 지원시설, 주거 및 창작공간 등 CT산업의 ‘클러스터 및 생산 기지화
(산업+관광/여가의 순환체계 구축)- CT산업 기반의 문화 콘텐츠 체험/관람, 쇼핑, 공연, 숙박 등 문화관광 및 여가문화의 ‘유통과 소비 촉진 유도
---------------
시장환경 분석(CT기업 및 관광수요)

부천영상문화단지의 수도권 입지 : CT기업 이전 수요 및 관광수요

CT기업 유치(8종) :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방송, 영화, 광고, 지식정보, 콘텐츠 솔루션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소재 업체수 : 16,946개

▪ 업종별 이전의사 및 부천지역 이전 선호비율
※ 잠재수요 : 2,500개 (업체수*이전의사)
※ 목표수요: 540개 (잠재수요*이전 선호지역

R&D 기능(전문 인력 양성) : 신규 인력 양성과 기존 인력 양성(전문성 함양) 구분
▪ 신규 인력 : 만화/애니메이션/캐릭터 등 3개 업종
▪ 기존 인력 : 8개 업종
※ 목표수요 : 연간 약 1,200명 (졸업생수*취업률*전공분야 진출률*유입률(목표치 30% 가정))
※ 목표수요 : 연간 약 300명(목표수요*평균 종업원수*유입률(목표치 10% 가정))

관광수요 : 당일수요와 숙박수요 구분(2014년 기준)
▪ 당일수요 :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
▪ 숙박수요 : 수도권 + 기타 지역
▪ 중국/일본/동남아 등 외국인 관광객 수요 창출 가능
※ 당일 목표수요 : 연간 약 28만명
※ 숙박 목표수요 : 연간 약 22만명 (수도권 이외 기타 지역 약 4만명)
-----------------
개발목표

대한민국 최고, 만화영상 중심의 최첨단 CT산업 육성 및 문화관광 거점지역 구축
영상문화단지–시청(문예회관)–종합운동장을 잇는 문화벨트 구축으로‘문화특별시 부천’의 위상 제고
- 역세권 개발사업 : 첨단비즈니스벨리(IT, BT, R&D 등)와 연계해 CT산업의 파급효과 극대화

문화콘텐츠 기반의 CT산업 전진기지와 도심 속 여가/관광이 어우러지는 문화/관광도시 구축
--------------
개발전략

CT산업의 생산/유통/교육/주거/R&D 기능의 집적화 기지 구축
국내 대표 및 글로벌 CT기업ㆍR&D센터 유치
유망한 중소 규모의 CT기업 유치 및 문화예술인 거주ㆍ창작공간 조성
문화콘텐츠 관련 교육기관 유치

도심속 문화관광 및 여가문화의 거점 구축
관광객 집객시설인 숙박/상업/체험/공연/위락 기능 도입
대규모 녹지광장, 문화 및 생태공원을 조성하여 휴식ㆍ휴양 기능 도입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 개방성, 확장성을 열어둔 단계적 개발
우선, 개발 가능한 부지는 2014년 부터 개발 착수
아인스월드 부지는 기부채납 만료시점을 감안하여 2단계 사업으로 추진

민간의 투자유인을 위한 획기적인 투자여건 조성
시는 기본방향만 설정하고 민간사업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토지이용계획, 개발계획을 민간이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도록 유도
토지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도시계획 변경(자연녹지 → 일반상업)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PM사 선정 및 전문 계약직 공무원 채용 운영
--------------
도입기능 및 시설
핵심가치
문화도시 부천의 정체성 강화
특화/전략산업 성장 유도
도심 속 어메니티 제고
지역활성화 및 활동적 체험공간 제공

CT산업 거점 기능
문화콘텐츠 중심의 CT산업 공간

관광/레저 기능
문화콘텐츠 유통/소비 공간

여가/휴양 기능
도심속 시민 휴식/휴양공간
-------------------
CT산업 거점 기능
CT기업 집적화 시설
<산업집적 부문>
관련기업 입주
-만화, 에니메이션, 캐릭터
-방송, 영화, 광고,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8개 부문

<공공지원 부문>
- 정책/제도/행정적 지원
-제작/유통/소비 촉진(마케팅)
-기업/기관 등 유치를 통한 단지 집적화/활성화

<인력양성 부문>
-종사자 전문성 강화(위탁교육 등)
-산업 예비인력 양성(아카데미 등)
-학교, 기업, 연구소 등과 산학연계 등 연구/개발 활성화
----------------
도입기능 및 시설
관광/레저 기능
관광/레저 시설
<산업콘텐츠 활용>
콘텐츠 및 상품의 유통/판매
(기술 구현, 유통 간소화 등)
종사자 관광/레저 욕구 충족

<국내/외 방문객>
수도권 거주자(나들이/쇼핑객)
외국인(쇼핑/문화체험/환승객)
기업 및 기관(시찰/업무 관련

<지역주민 – 부천, 인천>
야간/주말 나들이객, 쇼핑객
학생 및 단체 연수/관람객
행사/공연/축제 방문객
--------------
여가/휴양 기능
여가/휴양 시설

<도심 어메니티 강화>
자연/녹지공간으로 쾌적성 확보
호수(공원)-녹지-유수지를 연결하는 외곽 녹지축 형성

<공원 및 단지 이용 활성화>
실외 체육 및 레크리에이에션 공간 마련(녹지, 광장 등)
공원/광장과 산업/관광시설 연계

<유휴부지 확보>
향후 사업(규모) 확장 고려
연계 및 추가사업에 필요한 유보지 확보

도입시설
호수공원 리모델링(▪ 한류조각공원, 캐릭터가든, 수변카페, 수변무대 등)
유보지 잔디광장
유수지(생태공원)- 녹지, 생활체육시설, 초화원, 산책로 등
=============
공간구상- 부천‘판타지 파크’

기존 시설 및 확장 가능성 등 향후 개발여건 등을 고려해 대규모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3개 테마존으로 구상
-CT산업 클러스터 존(만화/애니메이션/방송/영화 등 문화콘텐츠 중심의 CT산업 집적화 단지, 관련 기업 입주 및 지원시설 도입, 연구/개발/교육기능 확보로 연계 및 파급효과 극대화)

-문화관광 존( 문화콘텐츠의 유통/소비 공간,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집객 및 소비유도를 위한 쇼핑/위락/체험시설 도입, 기존 상권과 차별화 및 도시민 라이프스타일 욕구 충족)

-파크가든 존(문화관광 존과 연계한 휴양공간, 녹지, 광장, 오픈스페이스 등 도심 속 아웃도어 레저활동 활성화, 사업 확장에 따른 유보지로 활용)
=====================
시설배치계획

CT산업 클러스터존

한국만화영상진흥원(기존 시설)
한국만화자료원
CT기업 집적화 기지 : 영상문화인마을, 만화한류센터 등
CT기업 집적화 기지 : A구역 / B구역
- 중소 CT관련 기업 및 글로벌 CT기업 유치, R&D센터, 비즈니스센터, 스튜디오, 제작/업무시설, 전시/관람/체험시설 등
※B구역은 아인스월드 기부채납 시효만료 후 개발 추진
유보지 잔디광장

문화관광존

복합문화공간(기존시설)
한문화테마거리(기존 시설)
캐릭터 테마파크/ 비즈니스 호텔/ 테마상가

파크가든 존

문화공원(호수공원)
생태공원(유수지)
어울림 브릿지 (호수공원~영상단지 연결)
--------------
시설배치 계획

CT산업 클러스터존(35.1%)
문화관광존(13.2%)
파크가든존(41.0%)
기반시설(10.7%)
----------------
세부 사업내용

CT산업 클러스터 존

1. 한국 만화영상 진흥원

경제 구조의 패러다임 변화 및 문화콘텐트 산업의 중요성 확대
- 콘텐트 산업의 국내외 시장규모 확대 및 고용/성장의 핵심 동력화
現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기능으로는, 글로벌 경쟁력 한계
- 만화박물관/자료원+창작마을+R/D 및 교육+CT기업+지원기관 등 집적화구도 완성 필요

산업+전시+아카데미+지원기능 강화 필요
- 기업 유치 및 육성, 프로모션/마케팅/개발 지원체계, R&D와 교육 기능 확대 등
- 한국 만화 자료원 및 한류 만화 센터(K-Comics)와 시설 및 인력체계 연계

2. 한국 만화 자료원

한국 만화영상 진흥원의 기능(교육, 연구, 개발지원, 소비촉진 등) 보완
- 전시/열람, 관람/체험, 보관/연구 기능 확보

3. 영상 문화인 마을

영상문화단지의 정체성 강화 및 장기 발전 차원에서 업무/주거시설 조성
- CT산업 관련 산업시설, 주거시설 도입으로 특성화
업무시설 : 영상문화인 마을 내 한류만화센터(K-Comics) 조성
- CT기업 및 종사자 대상의 창작촌으로 활용
주거시설 : CT산업 종사자 대상의 임대(소형), 일반인 대상의 분양 등.

4. CT기업 집적화 기지

단지 내 문화 콘텐츠 생산과 공급 기능 담당
방송, 영화, 광고,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산업 등 CT산업 집적화 센터 조성
- 콘텐츠 개발, 제작, 기획, 전시, 유통 관련 기업 입주 유도
‘산업-교육-연구’ 연계시스템 구축으로 시너지 효과 극대화
- 신규 인력 양성/종사자 재교육, R&D기능 확보 등 전문성 강화

5. 유보지 잔디광장

향후 CT산업기지 확장에 따른 유보지 개념으로 활용
영상문화단지의 상징적인 랜드마크 공간으로 조성
지역주민, 방문객에게 쾌적한 환경 제공 및 레저/휴양 공간 활용
- 야외 공연/영화 상영/지역축제 개최 등이 가능한 대규모 오픈 스페이스(잔디광장)

-----------------
문화관광 존

6. 복합문화공간

공연+전시+아카데미+스튜디오+체험/관광 등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
- 방송, 연극, 음악 등 영상예술 관련 전문인력 양성공간
- 방문객 유치 및 공간 활성화 : 창작물 공연, 오디션 등 주/야간 행사 개최 및 관람

7. 한 문화 테마거리

한옥마을과 전통음식 테마거리 조성
- 전통술, 전통차, 궁중음식 등의 체험․시식 및 전시 프로그램 운영
한류문화 체험 장터 : 외국인 대상의 한옥체험, 전통놀이, 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

8. 캐릭터 테마파크

CT기업 집적화 기지에서 생산한 콘텐츠 유통/소비 촉진 공간으로 조성
- 테마파크(시설) 운영 전문업체, 창작 캐릭터 및 상품판매 전문기업 유치 등
유아~아동층 타겟의 가족단위 방문객 유치를 위한 체험/관람/놀이시설 도입

9. 비즈니스호텔

비즈니스 목적객 및 국내/외 체류형 관광객 유치를 위한 숙박시설 도입
- 방문수요, 단지 기능을 반영해 비즈니스급으로 조성
- 특성화 : 콘텐츠를 활용한 테마룸, 주요 체험시설과 가격/서비스 연계

10. 테마상가

주변 상업시설과 경쟁 최소화, 광역 상권화(관광객 대상) 가능한 MD 구성
- SPA 전문점, 아웃도어/레포츠 대형매장, 뷰티/헬스케어, 웨딩, F&B 등)
- 외국인 관광객 타켓의 웨딩/미용 등 한국식 라이프 스타일 제공
상업시설 및 쇼핑트랜드인 주거, 쇼핑, 문화, 오락의 원스톱 체험 기능 복합화
저층(2~3층)/저밀도의 건축 디자인 및 오픈 공간 이미지 지향
------------------
파크가든 존

11. 문화공원 조성(호수공원 리모델링)

도심 속 여가/휴양 공간으로 기능 강화를 위한 리모델링 추진
단지 전체의 집객력 제고와 이벤트 활성화 유도
- 테마 문화공원 지향 : 한류스타 조각공원, 캐릭터 가든 등
- 휴식/휴양 공간 확보 : 수변 무대(야외 공연시설)/카페시설 등

12. 유수지(생태공원)

유수지 본래의 목적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생태공원으로 정비
- 악취제거, 수질정화, 교육체험테마공간 및 친환경 생태공간 조성

13. 어울림 브릿지

문화관광테마 존과 상동호수공원 연결로 단지 전체의 순환기능 활성화
보행육교 및 덮개공원 연결 사례

길주로 연결방안
1안 (브릿지 형태): 기존 보행육교를 유지하면서 보완하는 형태
2안 (덮개공원 형태): 호수와 영상단지를 하나의 형태로 보기위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 필요
===============
사업추진 방식

-링키지(Linkage)프로그램 방식: 민간사업자는 토지비 지급 대신 시설물 신축 후 공공에 기부채납(대물변제)- 민간사업자와의 공사비 등 잦은
마찰우려 (사업지연 등 계획 차질.

<적정> -일부 상업용지 매각/임대 방식: 공공은 개발재원 확보를 위해 일부 토지(용도변경)를 민간에 매각 후 잔여 토지에 대한 개발 진행- 토지매각 재원으로 공공부문의 개발 목표 달성.

-전체 부지매각 방식: 민간에게 사업부지 전체를 입찰을 통해 매각- 공공의 개발 목표와 어긋난 개발 진행 가능성 존재.

*<부지임대 사업>
문화관광존, CT집적화 기지 B구역

민간사업자:부지임대(개발 방향성 제시), 부지 임대 대금

부천시(PM사): <부지매각 대금 활용 사업 : 자체(공공)사업 추진> - 파크가든존, 기반시설, CT집적화 기지 A구역 등
※ PM사 적극 활용 - 공모절차 수행, 민간사업자 유치 등 프로젝트 관리주체 선정.

민간사업자: 부지매각, 부지매입대금 <부지매각 사업> 영상문화인마을.
-----------------
단계별 추진계획

준비단계: 2012년~2013년- 공공(부천시)
기본구상 및 공모지침(안) 수립
PM사 선정(프로젝트 총괄 관리)
도시기본계획/지구단위계획 변경.
*사업전략: 공모지침(안) 작성 → 전문가 자문위원회 구성 및 PM사 선정 → 공모지침서 보완 및 승인 → 공모절차 이행(사업자 유치)

1단계(2014년~2020년)
CT클러스터존( 한국만화자료원, 영상문화인 마을, 유보지 잔디광장, CT기지(A구역)- 공공+민간(부지매각)
문화관광존( 복합문화공간, 테마파크, 테마상가, 비즈니스호텔, 한문화테마거리)- 민간(부지임대)
파크가든존(어울림브릿지, 문화공원, 생태공원)- 공공

*사업전략: 용지매각으로 공공부문 재원확보 : 영상문화인마을 약 1만평
⇒ 기반시설 조성, 공공투자사업 추진(CT클러스터존, 파크가든존)
민간사업자 공모(임대) : 용도변경, 건축기준 완화, 행정서비스 제공 등
⇒ 문화관광존 일괄 개발, 창의적인 사업계획 및 실행 유도

2단계(2020년 이후)
CT클러스터존(CT기지-B구역)- 민간(부지임대)
*사업전략: 아인스월드 임대기한 만료 후 추진, 유보지 잔디광장과 더불어 CT기지 확장성(유보지) 반영.
-------------
투자비 및 재원조달계획
총 사업비(5,620억원)- 공공부문 1,313억원 민간부문 4,307억원

공공부문 투자비(1,313억원):
CT산업클러스터존
한국만화자료원 1단계 290억원(국비)
CT기업 집적화 기지(A구역) 1단계 853억원(부지매각 대금 활용)
유보지 잔디광장 1단계 15억원(부지매각 대금 활용)

문화관광존
한문화 테마거리 1단계 4억원(부지매각 대금 활용)

파크가든존
문화공원 / 생태공원 1단계 63억원(부지매각 대금 활용)
어울림브릿지 1단계 50억원(부지매각 대금 활용)

기반시설
도로 및 주차장 / 진입광장 / 녹지 등 1단계 38억원(부지매각 대금 활용)

총 1313억원
공공부문 재원조달 근거
부지매각: 30,467㎡(영상문화인마을): 1,371억원 *산출근거 4,500,000원(인근 상업지역 시세) × 30,467㎡.

사업투자 및 재원운영 : 특별회계 설치 (영상문화단지 개발 특별회계 설치 및 운영조례 제정).
-----------------
투자비 산출- 공공부문 1,313억원 민간부문 4,307억원

CT산업클러스터존(한국만화영상진흥원/기존시설, 한국만화자료원 290억원 국비 공공, 영상문화인마을 1,956억원 민간 부지매각, CT기업 집적화기지 a구역 853억 공공 자체사업, b구역 1022억원 민간 부지 임대, 유보지 잔디광장 15억원 공공 자체사업- 총 4,136억원 공공 1158억 민간 2978억)

문화관광존(복합문화공간 46억 민간 부지임대, 캐릭터테마파크 314억 민간 부지임대, 테마상가 632억원 민간 부지임대, 비즈니스호텔 222억 민간 부지임대, 테마상가 지하주차장 78억 민간, 한문화 테마거리 4억 공공 자체사업- 총 1,296악원 공공 4억 민간 1,292억)

파크가든존(문화공원 85억 공공 48억 민간 37억 공공+민간 자체사업, 생태공원 15억 공공 자체사업, 어울림브릿지 50억 공공 자체사업- 총 150억 공공 113억, 민간 37억)

기반시설(도로 및 주차장 6억, 진입광장 10억, 보행도로 및 녹지 등 22억 총 38억 공공 자체시업).
-------------
연차별 투자계획

CT산업클러스터존( 한국만화자료원 2014년 174억, 2015년 116억, 영상문화인마을 2013년 98억 2014년 978억, 2015년 880억, CT기업 집적화 기지 a구역 2014년 171억 2015년 2015년 469억 2016년 213억, b구역 2020년 이후 1,022억, 유보지 잔디광장 2014년 15억)

문화관광존(복합문화공간 2013년 46억 캐릭터테마파크 2014년 252억 2015년 190억 2016년 190억, 테마상가 2014년 252억 2015년 190억 2016년 190억, 비즈니스호텔 2016년 133억 2017년 89억, 테마상가 지하주차장 2016년 78억, 한문화 테마거리 2014년 4억원)

파크가든존(문화공원 2014년 48억 2015년 37억 생태공원 2018년 15억 어울림브릿지 2016년 50억)

기반시설( 도로 및 주차장 2014년 6억 진입광장 2016년 10억 보행도로 및 녹지 등 2015년 22억)

2013년 144억(2.6%)
2014년 1,648(29.3%)
2015년 1,808(32.2%)
2016년 831(14.8%)
2017년 152(2.7%)
2018년 15(0.3%)
2020년 이후 1022(18.2%).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부천상동영상문화산업단지 협약 연장 계획 즉각 철회” 촉구
소니픽처스사, ‘부천 영상문화산업단지 복합개발사업 적극 협력’ 약속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2022년 5월 토지 매각… 복합개발사업 행정절차 본격 추진
부천시·GS건설 컨소시엄,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복합개발사업’ 협약 체결
부천시의회,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부지 매각 동의안’ 가결
댓글쓰기 로그인

뉴타운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 김문수 “일주일간 각자 선거운동, 14..
· 부천시 공공의료원 설립·운영 조례안..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김문수 후보, ‘국민의힘 대선후보 지..
· 부천시, 원미구청 진달래홀 리모델링 ..
· 부천시, 정부양곡 가상계좌 전면 도입..
· 부천시보건소, 찾아가는 통합돌봄 ‘경..
· 부천시, 지방세 안내 ‘만화 홍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