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10개 광역동.
| AD |
부천시가 7월부터는 36개 동(洞)을 10개 광역동으로 통합해 운영한다. 앞서 시는 2016년 전국 최초로 3개 구청(원미ㆍ소사ㆍ오정구청)을 폐지한 바 있다.
광역동 시행은 동별로 중복된 기능을 줄이고, 남는 인력을 보건ㆍ복지 등에 투입해 현장행정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광역동 시행으로 건축 신고, 도로 관리, 청소 등 각종 생활민원이 원스톱으로 신속하게 처리되고, 보건복지서비스가 확대되며, 남는 동(洞) 청사 공간은 주민을 위한 문화ㆍ복지ㆍ자치공간 등으로 활용된다.
시 자치행정과 자치분권팀에 따르면 시는 2016년 3개 구청을 폐지하고 동(洞) 기능을 강화해 10개 행정복지센터와 26개 일반동 체계로 전환하는 과도기적 행정체제(시- 행정복지센터- 일반동)에서 7월부터는 광역동 시행을 통해 완전한 2단계 행정체계(시-광역동)로 바꿔 시민 편의와 행정효율을 높이기로 했다.
광역동은 행정체계를 현장 중심형으로 전환해 현장공공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으로, 행정복지센터 권역 내 2~4개의 동(洞)주민센터를 묶어 1개의 광역동으로 전환해 공무원 증원 없이 보강되는 인력 90명을 주민생활에 직결되는 현장 행정에 투입한다.
시는 공무원 인력 미증원 효과로 매년 약 27억원의 예산 절감효과가 있으며, 26개 통합 동(洞) 여유 청사 활용에 따른 경제적 편익비용 1천638억원이 발생해 행정체계 개편을 통해 총 1천665억원의 경제적 효용가치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0개 광역동(행정복지센터)에는 복지, 인ㆍ허가 등 235개의 시청 사무를 대폭 이관해 ‘작은 구청’의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공장지역을 관할하는 광역동에서는 공장 등록, 기업 애로 관리 업무를, 농업지역이 포함된 광역동에서는 농업자재 업무, 벼 병해충 방제, 농업인 확인 업무를 수행하는 등 주거ㆍ상업ㆍ공업ㆍ농업 등 지역특성에 맞는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광역동 체계 도입의 가장 큰 장점은 신속한 민원처리로, 10개 행정복지센터는 시청에서 이관한 사무를 포함해 주민자치, 도시재생 활성화, 인허가 등록ㆍ신고, 청소, 환경, 보안등 관리, 도로 보수 등 주민밀착형 업무를 수행한다.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구축으로 복지기능은 더 강화된다. 복지ㆍ간호 방문 전담인력을 배치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강화하고, 10개 광역동 주민자치회 전환에 따라 개별 특성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노인분야 선도도시로, 10개 광역동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100세 건강실과 종합사회복지관을 1:1 매칭해 보건과 복지의 칸막이를 없애고 통합서비스 환경을 구축해 누구나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함께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행정복지센터의 100세 건강실에서는 만성질환ㆍ대사증후군 관리, 치매 검진 및 우울증 검사, 의료비 지원, 금연 사업 등 원스톱 건강서비스를 제공한다.
행정기구 개편에 따른 시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동(洞)주민센터는 ‘주민지원센터’로 전환해 주민등록 등ㆍ초본 발급, 인감증명서 발급, 어디서나 민원 등 제증명 발급과 복지 민원 상담, 의료급여 관리, 보훈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전입 신고, 인감 신규 및 변경 신고, 대형폐기물 접수는 관할 광역동에서 처리하며 ‘대형폐기물 배출 전화신고제’가 시행돼 전화 한 통으로 간편하게 대형폐기물 배출신고를 할 수 있다.
동주민센터 청사의 여유 공간은 작은도서관 등 문화ㆍ복지, 주민자치 기능을 가진 편익시설로 시민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사진= 부천시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