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약식에는 GH 김세용 사장과 학술단체인 대한건축학회, 대한토목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재생학회, 한국주거학회, 한국주택학회 등 6개 학회 회장들이 참석했다.
최근 1기 신도시를 비롯한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이슈가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GH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학회와 함께 학문적·정책적 교류, 학술연구, 공동세미나 등의 방식으로 서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 AD |
협력 분야는 ▲도시 정비 및 도시기능 ▲정주환경 개선과 공간복지 ▲자족기능 확보 ▲기반시설 확충 및 개량 ▲공공역할 제고 및 개발이익 활용 방안 ▲각 분야 주체별 거버넌스 구축 등에 관한 사항으로써 각 기관들의 특성과 전문성을 포괄하고 있다.
올해 초 정부는 20년 이상 경과한 100만㎡ 규모 이상의 노후계획도시에 대한 정비 계획을 발표했고ㅡ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역시 발의됐는데, 여기에는 GH 등 공기업의 역할로써 사업시행자, 총괄사업관리자, 정비지원기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 김세용 사장은 “특별법상의 공기업 역할을 통해 경기도 내 노후계획도시를 지속가능한 미래도시공간으로 재창조하고자 많은 고민과 다각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번 협약식은 앞으로 점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비 방안과 그 안에서 효과적인 GH 역할을 마련하기 위한 의미있는 발걸음”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