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6.2 지방선거와 관련 기초단체장 후보 공천을 위해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공천배심원제’를 도입키로 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의 시민공천배심원제는 오는 29일 열리는 중앙당 당무위원회에서 세부 실행방안이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민주당 시민공천배심원제’는 배심원단이 당(黨) 공천심사위원회가 추천한 여러 후보들의 토론과 정책을 지켜본 뒤 투표로 1명을 결정하는 게 핵심이다. 한마디로 시민과 전문가들이 여러 후보 중에서 1명을 직접 추려내는 것이다.
공천배원단 구성은 최대 1천여명의 배심원단 참가 인사풀 가운데 200명을 선정하되, 해당 지역 시민들이 참여하는 지역(현지) 배심원단과 시민사회단체 인사ㆍ각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중앙 배심원단이 각각 50%인 100명씩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천 경쟁에 뛰어든 후보자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도록 지역(현지) 및 중앙 배심원단으로 참여하는 200명의 인사에 ‘당원을 포함시키지 않고’ 배심원단을 구성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공천배심원단이 구성되면, 시ㆍ도당 공천심사위원회에서 기초단체장 출마 후보군을 대상으로 사전 심사를 통해 2명 이상으로 압축해 시민공천배심원단으로부터 철저한 검증을 받게 된다.
200분 동안 검증 대상에 오른 후보군을 대상으로 출마의 변, 패널 토론, 후보자간 토론, 마무리 등의 순서로 진행해 이 과정을 지켜본 공천배심원단이 최종 1명의 후보를 가려낸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시민공천배심원단제를 적용해 기초단체장 후보 공천을 실시할 지역으로는 서울ㆍ경기 등 수도권과 호남지역 등 중앙당에서 30%를 ‘전략 공천’ 지역에 우선 거론되고 있다. 이럴 경우 부천시장 후보도 시민공천배심원단의 검증을 거쳐 확정하게 된다.
민주당 시민공천배심원단제가 부천시장 출마 후보군에 적용될 것이 확실시 됨에 따라 각 후보군마다 유ㆍ불리에 대한 분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과연 누가 시민공천배심원단으로부터 검증을 받을 부천시장 후보군에 포함되느냐 여부가 1차 관문이고, 이어 2차 관문은 200분간에 걸친 검증 과정 중 후보자간 토론이 압권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