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홍보기획관실은 29일 오전 열린 부천시의회 제18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 답변을 통해 <뉴스부천>을 운영하게 된 배경에 대해 “시 홈페이지에 ‘판타지아 뉴스포털’ 코너를 운영했으나 시민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했고, 시의 주요 정책 홍보와 정보 전달은 주요 일간지와 지역 언론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시에서는 시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엔 많이 부족하고, 시의 주요 정책이 지역사회와 갈등을 빚어도 올바른 정보 전달을 하기가 어려운데다, 시민이 참여하는 많은 행사와 소식, 그리고 시의 주요정책을 알릴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며 이같이 답변했다.
시 홍보기획관실은 “서울시는 ‘서울톡톡’, 인천시는 ‘I-View’(아이 뷰), 광명시는 ‘생동감’ 처럼 현재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온라인 정책홍보 사이트를 직접 운영하는 사례가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행사와 내용을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경기도는 ‘경기G뉴스’, 경상북도는 ‘프라이드 i뉴스’, 충청북도는 ‘함께하는 충북’,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TogeTher 광산Talk’ 등의 명칭으로 온라인 홍보 소식지를 운영하고 있다.
| AD |
유사 언론 논란이 제기됐던 <뉴스부천>은 이에 따라 <市政(시정)뉴스 부천>으로 제호를 바꿔 종전처럼 부천시가 주요 일간지와 지역 언론사에 배포하는 보도자료와 복사골 부천과 블로그의 시민기자가 현장의 모습을 담아 운영하고 있다. <시정뉴스 부천>의 기존 URL(인터넷 주소 www.newsbucheon.net·바로 가기 클릭)은 그대로 사용된다.
또 당현증 시의원이 ‘<뉴스부천>에 게재되는 글 중 시장이 작성자(기자)인 경우, 각종 규정이나 법규 위반 여부에 대하여 관련 기관의 유권해석을 의뢰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를 물은 것과 관련해서도 “ 기자라는 명칭 사용의 규정이나 법규 위반 여부에 대하여는 유권해석 등을 의뢰한 사실은 없으며, 운영상 기자 명칭 사용은 논란의 소지가 있어 기자라는 명칭은 즉시 삭제했고, 현재는 게재자의 소속과 이름으로 올리고 있고, 논란의 가능성이 제기된 ‘시정메모’ 등은 사이트 개편 과정에서 제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 홍보기획관실은 윤병국 시의원이 ‘각종 고시·공고, 자문위원 모집, 용역자료 공개 등을 시정홍보지에 정보공개 수단으로 이용할 용의’를 물은 것과 관련, “시민에게 알려야 하는 정보는 온라인 정책홍보 사이트를 비롯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시의적절하게 홍보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