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상임고문은 31일 오후 4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오늘 정치를 떠납니다. 손학규가 정치를 그만두는 것이 대단한 일이겠냐만 그동안 함께 기쁨과 슬픔을 나눈 동지들과 어려운 상황마다 도움주셨던 지지자 여러분, 분에 넘치는 사랑 주신 국민들께 인사드리는 것이 도리같아 이자리에 섰습니다”라며 정계 은퇴의 입장을 밝혔다.
손학규 고문은 이날 손학규 고문은 “정치인은 선거로 말해야 하는것이 저의 오랜 신념이었다. 저는 이번 7.30 재보선에서 유권자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그 뜻을 겸허히 받아들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손 고문은 “정치인은 들고 날 때가 분명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평소 생각이며, 순리대로 살아야 한다는 것 또한 저의 생활철학으로 지금은 제가 물러나는 것이 순리라고 생각한다”며 “책임정치의 자세에서 그렇고 민주당과 한국 정치의 변화와 혁신이라는 점에서 그렇다”고 덧붙였다.
손 고문은 “국민여러분께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들어 ‘저녁이 있는 삶’을 돌려드린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송구스럽다”며 “떳떳하게 일하고 당당하게 누리는 세상, 모두 함께 일하고 일한만큼 모두가 소외받지 않고 나누는 세상, 그런 대한민국 만들려고 했던 저의 꿈을 이제 접는다”고 말했다.
손학규 고문은 끝으로 “오늘 이시간부터 시민의 한사람으로 돌아가 성실하게 살아가겠다. 저녁이 있는 삶을 이루기위해 열심히 살고 또 노력하는 국민의 한사람이 되겠다”는 말을 남겼다.
다음은 손학규 상임고문의 정계은퇴 기자회견 <전문>.
안녕하십니까 손학규입니다.
저는 오늘 정치를 떠납니다.
손학규가 정치를 그만두는 것이 대단한 일이겠냐만 그동안 함께 기쁨과 슬픔을 나눈 동지들과 어려운 상황마다 도움주셨던 지지자 여러분, 분에 넘치는 사랑 주신 국민들께 인사드리는 것이 도리같아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정치인은 선거로 말해야 하는것이 저의 오랜 신념이었습니다.
저는 이번 7.30 재보선에서 유권자의 선택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 뜻을 겸허히 받아들이고자 합니다.
저 자신의 정치력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판단은 민주당을 비롯한 한국 정치의 변화에 대한 국민의 여망이라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1993년 정치에 입문한 이래 분에 넘치는 국민의 사랑과 기대를 받았습니다.
2007년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시베리아 땅으로 나선 이래 민주당과 함께한 저의 정치 역정은 순탄치 않았지만 민주당에 대한 새정치국민회의에 대한 저의 사랑을 다시 한번 고백합니다.
정치인은 들고 날 때가 분명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평소 생각입니다. 순리대로 살아야 한다는 것 또한 저의 생활철학입니다.
지금은 제가 물러나는 것이 순리라고 생각합니다. 책임정치의 자세에서 그렇고 민주당과 한국 정치의 변화와 혁신이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국민여러분께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들어 저녁이 있는 삶을 돌려드린다는 약속 지키지 못해 송구스럽습니다.
떳떳하게 일하고 당당하게 누리는 세상, 모두 함께 일하고 일한만큼 모두가 소외받지 않고 나누는 세상, 그런 대한민국 만들려고 했던 저의 꿈을 이제 접습니다. 능력도 안되면서 짊어지고 가려 했던 모든 짐을 이제 내려놓습니다.
그동안 정치생활을 통해 얻었던 보람은 고이 간직하고 아쉬움은 뒤로 하고 떠나려 합니다.
오늘 이시간부터 시민의 한사람으로 돌아가 성실하게 살아가겠습니다. 저녁이 있는 삶을 이루기위해 열심히 살고 또 노력하는 국민의 한사람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손학규 상임고문이 걸어온 길
| AD |
1947년 경기도 시흥시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정치학과(1965~1973년), 영국 옥스퍼드대(1981~1988년 정치학 박사)를 졸업했으며, 1969년 민주화운동으로 1년간 투옥됐고 1973년부터 10년간 빈민운동 및 인권운동으로 수배생활을 했다.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1988~1990년)와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1990~1993년)를 지내고, 1993년 경기 광명을 보궐선거에 민자당으로 출마해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고, 1996년 제15대 총선에 신한국당으로 경기 광명을에서 재선에 성공했으며, 보건복지부장관(1996년 11월~1997년 8월)을 역임했고,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으로 경기 광명을에서 3선 고지에 올랐다.
민선 3기 경기도지사(2002년 7월~2006년 6월)를 지낸 뒤 2006년 10월까지 100일 민심대장정을 했고 2007년 3월 한나라당을 탈당해 대선후보 경선에서 정동영 후보에게 패했고, 2008년 1월 대통합민주신당 대표, 2008년 2월 통합민주당 공동대표, 2010년 민주당 대표, 2011년 4월 제18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분당을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돼 4선 고지에 올랐으며, 2012년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저녁이 있는 삶’을 내세웠으나 문재인 후보에게 패하면서 대권 도전에 실패했다가 이번 7·30 제19대 국회의원 수원병 보궐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7월31일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