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 |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바로 가기 클릭)이 4월 셋째 주(18~20일) 전국 성인 1천4명에게 누가 대통령이 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문재인 후보 41%, 안철수 후보 30%, 홍준표 후보 9%, 심상정 후보 4%, 유승민 후보 3%, 없음/의견유보 12%로 나타났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문재인, 홍준표, 심상정 후보가 각각 1~2%포인트 상승했고, 안철수 후보는 7%포인트 하락했으며 유승민 후보는 변함이 없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88%가 문재인 후보를, 국민의당 지지층 92%가 안철수 후보를, 자유한국당 지지층 70%가 홍준표 후보를 꼽았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에서는 안철수 후보 25%, 문재인 후보 14% 순이며, 48%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번 주 안철수 후보의 지지도 하락은 남성(40%→ 35%)보다 여성(34%→ 25%), 50대 이상(약 10%포인트 하락), 인천/경기(38%→ 28%), 대전/세종/충청(42%→ 29%), 대구/경북(48%→ 23%), 무당(無黨)층(39%→ 25%) 등에서 두드러졌다.
4월 들어 소속 정당 지지도를 크게 넘어서며 급부상한 안철수 후보의 지지세는 상당 부분 국민의당 지지층 외곽에 기반해 선두 주자인 문재인 후보에 비해 변동 여지가 큰 편이었다.
지난 17일 공식 선거운동 돌입 후 격화된 검증과 네거티브 공방 등에 최근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 일부가 이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대선에 ‘꼭 투표할 것’이라고 응답한 적극 투표 의향자(904명) 중에서는 문재인 후보 43%, 안철수 후보 30%로, 양자 격차가 13%포인트로 나타났다. 지난주 적극 투표 의향자의 문재인- 안철수 격차는 6%포인트 였다.
● 현재 지지하는 후보, ‘앞으로도 계속 지지할 것’ 64% vs ‘상황에 따라 바꿀 수 있다’ 34%
현재 지지하는 후보가 있는 사람(880명)에게 계속 지지 의향을 물은 결과, 64%는 ‘앞으로도 계속 지지할 것같다’, 34%는 ‘상황에 따라 다른 사람 지지로 바꿀 수도 있다’고 답했으며, 2%는 의견을 유보했다.
주요 지지후보별 계속 지지 의향은 문재인 후보 65%, 안철수 후보 68%, 홍준표 후보 69% 등으로 60%를 넘었고 심상정 후보 40%, 유승민 후보 28%로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었다.
후보 계속 지지 의향은 2주 전에 비해 9%포인트 늘었다. 이는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2012년 대선 3주 전인 11월 다섯째 주에는 박근혜 지지자의 82%, 문재인 지지자의 76%가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당시 박근혜, 문재인 지지자들 중 20대의 계속 지지 의향은 약 55% 수준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도 20대의 계속 지지 의향이 34%로 가장 낮았다.
● 대선 후보 지지 이유
- 문재인: 정권교체/적폐청산, 믿음/신뢰, 준비된 대통령 등 안정적 이미지
- 안철수: 새로움/참신함, 깨끗/청렴, 유능함 등 기존 정치인들과 차별화
- 홍준표: 대북 안보 -심상정: 정책/공약 -유승민: 주관/소신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416명, 자유응답)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정권교체/적폐청산’(13%), ‘다른 사람보다 나아서’(12%), ‘믿음/신뢰’(8%), ‘준비된 대통령/검증된 인물’(6%), ‘깨끗/청렴’(6%), ‘경험/연륜’(5%) 등 주로 안정적 이미지가 두드러졌다.
안철수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301명, 자유응답)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새롭다/참신함’, ‘깨끗/청렴’(13%), ‘다른 사람보다 나아서’(9%), ‘유능/똑똑함’(6%) 등을 이유로 들어 기존 정치인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안 후보는 의사, 벤처 기업인, 교수 등을 거쳐 정계 입문해 다른 후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치 경력이 짧은 편이다.
홍준표 후보 지지자들(88명, 자유응답)은 ‘대북 안보’(21%), ‘결단력/박력’(13%), ‘믿음/신뢰’(10%), ‘보수 대표’(7%) 등 홍 후보가 강조하는 ‘강한 대통령 후보’ 이미지에 부합되는 내용을 주로 지지 이유로 꼽았다.
심상정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40명, 자유응답)은 ‘정책/공약이 마음에 든다’(29%), ‘노동자 편’(12%), ‘진보/개혁적’(12%) 등을 지지 이유로 들었다.
유승민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34명, 자유응답)은 ‘주관/소신’(26%), ‘정책/공약이 마음에 든다’(17%), ‘합리적’(13%) 순으로 지지 이유를 들었다.
● 주요 인물 호감 여부
- ‘호감 간다’: 문재인 53%ㆍ안철수 52%ㆍ심상정 48%ㆍ유승민 42%ㆍ홍준표 18%ㆍ조원진 3%
원내 정당 대선 후보 6명 각각에 대한 호감 여부를 물은 결과, ‘호감이 간다’는 응답은 문재인 53%, 안철수 52%, 심상정 48% 순으로 50% 내외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유승민 42%, 홍준표 18%, 조원진 3% 순이었다.
각 후보 호감도를 2주 전과 비교하면 심상정(33%→ 48%)과 유승민(30%→ 42%)이 10%포인트 이상, 문재인(48%→ 53%)과 홍준표(14%→ 18%)도 약 5%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지난 조사에서 급등했던 안철수 호감도는 이번에 6%포인트 감소했다.
● 문재인, ‘호감이 간다’ 53% vs ‘호감이 가지 않는다’ 40%
- 민주당 지지층 호감 93%, 네 차례 조사 중 비호감 최소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 여부 질문에는 ‘호감이 간다’ 53%, ‘호감이 가지 않는다’ 40%였고, 7%는 의견을 유보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93%, 정의당 지지층 66%는 문재인에 호감을 표했으나, 그 외 정당 지지층과 무당(無黨)층에서는 비호감이 더 우세했다.
문재인 호감도를 세대별로 보면 20대 63%, 30대 72%, 40대 65%, 50대 47%, 60대 이상 27%로 고연령일수록 낮았다. 2월 이후 네 차례 조사 중 문재인 호감은 최대, 비호감은 최소치로 나타났다.
● 안철수, ‘호감이 간다’ 52% vs ‘호감이 가지 않는다’ 41%
- 2주 전에 비해 호감 6%포인트 감소, 비호감 6%포인트 증가
안철수 후보에 대해서는 ‘호감이 간다’ 52%, ‘호감이 가지 않는다’ 41%였고, 7%는 의견을 유보했다. 세대별 안철수 호감도는 20~30대 약 40%, 40대 47%, 50대 이상 65%였다.
안철수 후보에 ‘호감이 간다’는 응답은 2주 전에 비해 6%포인트 줄었고, 이는 주로 20·30대에서 두드러졌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6%포인트 늘었다. 다른 후보들의 호감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지만, 여전히 지난 2~3월에 비하면 상당히 나은 편이다.
문재인 후보는 성별 호감도(남 53%, 여 54%)가 비슷하지만, 안철수 호감도는 남성(58%)보다 여성(46%)에서 낮았다. 이는 후보 지지도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양자 간 차이다.
● 심상정, ‘호감이 간다’ 48% vs ‘호감이 가지 않는다’ 43%
심상정 후보에 대해서는 ‘호감이 간다’ 48%,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43%였고,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심상정 후보의 호감도는 2주 전에 비해 15%포인트 증가했고, 비호감은 10%포인트 감소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별로 호감도가 늘었다.
공식 선거운동 시작 후 주로 문재인과 안철수에 검증과 네거티브 공방이 집중되고 있어 다른 후보들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다. 특히 심상정은 원내 정당 대선 후보들 중 가장 진보적이고 뚜렷한 정책과 공약을 내놓고 있다. 이는 당선 가능성과는 별개로 대중적 호감도를 높이는 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 유승민, ‘호감이 간다’ 42% vs ‘호감이 가지 않는다’ 47%
유승민 후보에는 ‘호감이 간다’ 42%, ‘호감이 간다’ 47%였고, 11%가 의견을 유보했다. 심상정 후보와 마찬가지로 유승민도 2주 전 대비 호감도 12%포인트 증가, 비호감은 11%포인트 감소했다.
바른정당 지지층의 유승민 호감도는 75%로 다른 후보들의 소속 정당 지지층 호감도(약 90%)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또한 과거 소속 정당인 자유한국당 지지층은 73%가 유승민에게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답해 여전히 탈당파에 냉담했다.
● 홍준표, ‘호감이 간다’ 18% vs ‘호감이 가지 않는다’ 75%
홍준표 후보에 대해서는 ‘호감이 간다’ 18%, ‘호감이 가지 않는다’ 75%였고, 7%는 의견을 유보했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만 호감(88%)이 비호감(7%)을 앞서며, 이념 성향 보수층에서는 호감(44%)- 비호감(50%) 격차가 크지 않았다. 그 외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비호감이 높었다.
●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40%ㆍ국민의당 19%ㆍ자유한국당 9%ㆍ바른정당 5%ㆍ정의당 5%
한국갤럽이 4월 셋째 주(18~20일) 전국 성인 1천4명에게 현재 지지하는 정당을 물은 결과, 더불어민주당 40%, 국민의당 19%, 자유한국당 9%, 바른정당 5%, 정의당 5%, 새누리당 2%, 없음/의견유보 19%로 나타났다.
국민의당은 지난주 대비 5%포인트 하락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은 1%포인트 하락, 바른정당과 정의당은 각각 1%포인트 상승했으며 자유한국당은 변함이 없었다.
이번 조사에 포함된 새누리당은 4월10일 정식 등록한 정당으로, 2월13일 자유한국당으로 개명한 기존 새누리당과 다르다. 그러나 일부 유권자들은 두 정당을 혼동해 답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국민의당 지지도는 지난주까지 6주 연속 상승해 창당 후 최고 수준에 달했고, 안철수 후보 역시 4월 들어 급부상하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에 3%포인트 차로 근접했다. 그러나 이번 주에는 안철수 지지도와 국민의당 지지도가 동반 하락했다.
한편, 이번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4월18~20일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천4명을 상대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한 휴대전화 임의번호걸기(RDD)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25%(총 통화 4천43명 중 1천4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그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ㆍ바로 가기 클릭)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