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미국·북미
중국
일본
아시아
유럽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국제기구

탑배너

북한, 29일 새벽 ICBM급 미사일 발사… 75일 만에 美본토 겨냥
고각 발사… 고도 약 4천500kmㆍ예상 비행거리 960km
평남 평성 일대에서 발사… 문재인정부 출범 후 11번째 
더부천 기사입력 2017-11-29 07:00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7893
| AD |
북한 “새로 개발한 화성-15형 성공적 발사” 발표

[1보] 북한은 29일 낮 12시30분 주선중앙TV를 통해 이날 새벽에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새로 개발한 대륙간탄도로켓(ICBM) ‘화성 15형’으로, 김정일 노동당 위원장의 친필 명령으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또 이날 오전 2시 48분 평양의 발사한 ‘화성 15형’은 최고 고도 4천475㎞까지 상승해 비행거리 950㎞를 53분간 비행했고,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수 있는 초대형 중량급 핵탄두 장착이 가능하며, 목표한 로켓체계 개발 완결단계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속보] 북한이 29일 새벽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으로 추정되는 장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연합뉴스 등 국내 주요 언론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오전 3시 17분경 평안남도 평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고도 약 4천500km, 예상 비행거리는 약 960km”라고 밝혔다.

이번 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고도가 4천500㎞에 달했다는 점에서 정상적으로 발사하면 사거리가 1만㎞ 이상일 것으로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사일 비행거리는 고도의 2∼3배에 달하기 때문에 최대 1만㎞가 넘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북한이 고각으로 발사한 미사일 가운데 가장 높았고, 고도 4천㎞를 넘은 것도 처음이어서 ICBM급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지난 9월 15일 발사한 ‘화성-12형’은 최대 고도 770여㎞로 비행거리는 3천700여㎞였다.

이번 미사일은 북한 사인리에서 발사돼 1천㎞를 비행한 후 동해상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 9월 15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일본 북한이 평성 일대에서 미사일을 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1번째 미사일 도발이다.

우리 군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6분만에 도발에 대응한 정밀타격훈련을 실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오늘 오전 3시23분부터 3시44분까지 동해상으로 적 도발 원점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지·해·공 동시 탄착개념을 적용한 미사일(3개 발사) 합동 정밀타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이 29일 오전 3시 17분께 평안남도 평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화성-14형’ 계열의 장거리 탄도미사일이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북한에서 이번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공식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북한은 지난 7월 4일과 28일에도 화성-14형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오전 3시 18분께 E-737(피스아이)에서 처음 탐지했고, 이후 동해상에서 작전 중인 이지스함과 조기경보레이더에서도 포착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북한, 1년5개월만에 ‘단거리 발사체’ 여러 발 발사
북한, 日상공 통과 미사일은 IRBM 화성-12형
북한, 15일 日상공 통과 탄도미사일 발사
일본, 北 미사일 발사 4분 후 ‘전국순간경보시스템’ 발동
[전문] 합참, 北 탄도미사일 발사 경고 성명 발표
댓글쓰기 로그인

지구촌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 부천FC, 김포에 2-1로 이겨… 리그 3위..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부천시, 2025년 달라지는 행정ㆍ정책 ..
· 경기도, ‘경기대표관광축제’ 실시간..
· 경기도 거주 27~39세 절반 이상이 ‘미..
· 경기도, ‘2025년 인구감소지역 대응 ..
· 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 ‘2025..
· 경기도교육청, ‘경기학교예술창작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