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와 교통

부천 날씨
기상청 소식
기상 특보상황
버스 택시 지하철
도로ㆍ교통 정보
가볼만한 곳
천문 현상

탑배너

2018년과 1994년 폭염 비교… 올해가 최강 폭염
올여름, 1994년 폭염과 유사하지만 북태평양고기압 세력 더 강해
서울 39.6℃, 관측 이래 111년 만에 일(日)최고기온 극값 1위
16일까지 1973년 이래 전국 평균 최고기온ㆍ폭염일수 1위 기록 
더부천 기사입력 2018-08-17 14:44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5317

| AD |

기상청은 17일 올 여름 사상 최악의 폭염은 티벳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의 발달이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기상청은 “2018년과 1994년 모두 우리나라 주변 대기 상층에 티벳 고기압, 대기 중ㆍ하층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강하게 발달해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맑은 날씨로 인한 강한 일사효과까지 더해져 무더운 날씨가 이어졌다”며 “특히 올해는 1994년과 비교해 티벳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더욱 강하고, 보다 폭넓게 발달한 특징을 보였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올해와 1994년의 폭염은 티벳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했던 이례적인 사례”라며 “올해는 1994년보다 고기압 세력이 더욱 강했고, 장마 종료 후 강수현상이 매우 적었기 때문에 뜨거운 열기가 식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누적되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더욱 강화되는 특징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1994년에는 8월 상순에 태풍(제11호 BRENDAN, 제14호 ELLIE)의 영향으로 두 차례의 많은 비가 내려 더위가 일시적으로 누그러졌으나, 올해는 장마 종료 후 2개의 태풍(제10호 AMPIL, 제12호 JONGDARI)이 오히려 폭염을 강화시킨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온과 강수량 극값 현황

▲최고기온= 서울은 8월 1일 39.6℃를 기록해 종전의 기록인 38.4℃(1994년 7월 24일)를 뛰어넘으면서, 1907년 10월 1일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111년 만에 가장 높은 값을 기록했다.

특히 강원도 홍천은 8월 1일 41.0℃를 기록해 대구에서 기록했던 전국 역대 1위인 40.0℃(1942년 8월 1일)를 경신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

▲최저기온= 밤사이 최저기온은 서울은 8월 2일 30.3℃, 강릉은 8월 8일 30.9℃를 기록하면서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최저기온값을 경신했다.

▲전국 평균 기온과 강수량= 올 여름(6월 1일~8월 16일) 전국 평균기온은 25.5℃로 평년(23.5℃)보다 2.0℃, 최고기온은 30.7℃로 평년(28.3℃)에 비해 2.4℃가 높아 1973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았고, 일조시간도 611.3시간으로 평년(424.2시간)에 비해 187.1시간이 많아 가장 길었다.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 현황

올 여름(6월 1일~8월 16일) 전국 평균 폭염 일수는 29.2일(평년 8.7일)로, 197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고, 열대야 일수는 15.7일(평년 4.4일)로 1994년(16.6일)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폭염 일수는 일(日)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 열대야 일수는 밤(오후 8시 1분부터 다음날 오후 9시)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말한다.

낮 동안 폭염은 주로 내륙지역에 나타났고, 밤 동안 열대야는 주로 해안가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징은 1994년과 유사했다.

8월 16일까지 폭염 일수는 경북 의성이 43일로 가장 많은 일수를 나타냈고, 폭염 최장 지속 일수는 층남 금산이 37일로 가장 오래 지속됐다.

열대야 일수는 충북 청주가 34일로 가장 많은 일수를 나타냈고, 열대야 최장 지속 일수는 전남 여수가 29일로 가장 오래 지속됐다.

■2018년과 1994년의 기온과 강수량 현황

6월 1일~8월 16일까지 전국 평균기온은 2018년 25.5℃, 1994년 25.4℃로 평년보다 2.0℃, 1.9℃로 각각 높았고, 강수량은 각 343.4㎜, 328.4㎜로 평년보다 적었다.

기상청에서 흔히 말하는 ‘평년’은 1981~2010년까지 30년 평균을 말한다.

장나는 2018년과 1994년의 장마기간은 평년보다 짧고, 강수량은 적었다.

특히, 올해 장마는 7월 11일에 중부지방에서 종료되면서 장마기간이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짧아 폭염이 일찍 시작된 요인이 됐다.

역대 가장 짧은 장마는 1973년 제주도에서 6월 25일∼7월 1일까지 7일, 남부와 중부지방은 6월 25∼30일까지 6일 이었다.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온열질환 주의
경기도, 25일 폭염 대비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1단계 가동
전국 찜통더위… 부천ㆍ서울 등 올여름 첫 ‘폭염경보’
전국 가마솥 더위… 전국 대부분 ‘폭염경보’… 그 외 ‘폭염주의보’
장마전선 주춤, 7월 19일부터 수도권 등 전국 대부분 지역 폭염특보 발령
댓글쓰기 로그인

날씨와 교통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 부천시, ‘전국 기초지자체 매니페스토..
· 조용익 부천시장, 소사역·대장역·부..
· 제29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7월 3일 개..
·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가평..
· 경기도, 제5차 부단체장 회의 개최… ..
· 경기도 연인산도립공원 직원 10명, 21..
· 부천세종병원, 이웃돕기 성금 1천만원..
· 경기도교육청, 지역 밖 기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