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AN 신철 집행위원장을 비롯해 최민영 C-47 스튜디오 대표, 이지현 DHL 코리아 마케팅 팀장, 시오마키 유코 Pictures Dept, Co., Ltd. 대표, 노부사와 야스에 VIPO 수석 프로듀서, 타케야마 아야 VIPO 프로듀서 등 NAFF(아시아 판타스틱영화 제작네트워크) 프로젝트 미팅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 B.I.G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에서 열었다. ‘게더타운’(gather.town) 내 ‘부천 판타스틱 캐슬’과 ‘비닷스퀘어’(b.square)를 중심으로 ‘환상영화학교’와 ‘NAFF 프로젝트 마켓’ 등을 운영했다.
제작 환경이 어려워진 영화계 상황에도 불구하고 ‘NAFF 프로젝트 마켓’은 사전 미팅 신청 1천72건 등 총 미팅 655건을 기록하는 등 역대 최다 미팅 건수를 기록해. 세계 영화인들의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로 14회째를 맞이하는 ‘NAFF 프로젝트 마켓’은 ‘잇 프로젝트’ 공식 선정작 19편, ‘프로젝트 스포트라이트 한국’ 선정작 11편 등 총 28개국, 40편을 선보였다. 영화전문가들로 구성된 3인의 심사위원단은 엄정한 심사를 통해 최종 수상작을 결정했다.
NAFF 2021 시상은 △현금제작비 지원 △후반작업 현물 지원으로 나눠 현금 1억원, 현물 2억4500만원 상당을 제공한다.
총 10개 부문 16편의 수상작 중 이날 폐막식에서는 8개 부문 9편의 수상작을 발표했다.
‘판타스틱 7상’ 수상작 1편과 ‘워크 인 프로그레스’ 후반작업 지원작 6편은 사전 발표했다.)
부천상(최우수상)을 비롯해 NAFF상(우수상), 아시아의 발견상(아시아 신인상), 한국의 발견상(한국 신인상), NAFF 코리안 어워드, DHL상 등 현금제작비 지원 6개 부문 7편, 후반작업지원은 2개 부문 2편이다.
부천상은 <도화>(감독 제니 순, 홍콩)가 수상해 2천만원의 제작비를 지원한다. <도화>는 베라 히틸로바(Věra CHYTILOVÁ) 감독의 <데이지>(Daisies)의 강렬한 풍자를 현대 홍콩 상황에 빗대어 대담하게 해석한, 유쾌하고 시의적절한 작품이다.
NAFF상은 <헝그리 고스트 다이너>(감독 웨 준 초, 말레이시아)로, 가족과 수용에 관한 영화이며 동양의 할로윈이라고 불리는 ‘헝그리 고스트 페스티벌’을 통해 중국 민속 문화를 경험해볼 수 있는 영화다.
아시아의 발견상을 수상한 <치유의 땅>(감독 호앙 레, 베트남)은 ‘사랑의 감옥’에 관한 이야기로 불치병을 치료하는 장소에서 두려움이 공포로 변하는 과정을 묘사한 수작이다.
한국의 발견상을 받은
각각 1천만원을 지원하는 NAFF 코리안 어워드 수상작 2편은 <공작새>(감독 변성빈)와 <라나4>(감독 심요한)가 수상했다.
<공작새>는 서양의 보깅 댄스와 한국 농악의 결합을 통해 트렌스젠더를 향한 세대 간 갈등과 화합을 역설했고, <라나4>는 성별, 나이와 상관없이 힘을 상징하는 ‘총’이라는 소재를 통해 신분 상승을 꿈꾸는 미혼모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한국 DHL에서 지원하는 DHL상(상금 500만원)은 <포털, 별을 향해>(감독 차디 아보/시리아·프랑스)가 차지했다. 직접적인 시각적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리아의 끔찍한 전쟁의 모습을 보여주는 판타지 공상 과학 장르영화다.
후반작업 현물 지원은 2개 부문이 새로 발표됐다. 색보정(DI)을 지원하는 C-47상은 <화이트 킹>(라오스·스페인), DI·사운드 믹싱 등 후반작업을 지원하는 모카차이상은 <스이코>(일본)가 수상했다.
<화이트 킹>(감독 마티 도)은 사회를 좀먹는 역겹고 진정으로 끔찍한 포식자들에 대한 개인적인 관점을 보여주는 호러영화이고, <스이코>(감독 가네코 마사카즈)는 자연을 초월하는, 인간이 아닌 존재를 상징하는 ‘스이코’라는 대상을 통해 삶의 보편적 가치를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올해 심사는 김영 미루픽처스 대표, 시오마키 유코 Pictures Dept,Co.Ltd. 대표, 피터 쿠플로스키 프로듀서(토론토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가 맡았다.
피터 쿠플로스키는 “심사를 진행하며 프로젝트 참가자들의 열정과 그들의 원대한 포부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면서 “시대정신과 비전, 시의적절한 사회비판 의식이 드러나는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심사 기준을 밝히고, “이토록 재능있는 영화감독과 프로듀서들을 만날 수 있게 해준 BIFAN팀에게 박수를 보낸다”고 덧붙였다.
제14회 NAFF 프로젝트 마켓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현금 제작 지원(Cash Awards)
▲부천상(Bucheon Award, 상금 2천만원)= ‘도화(桃花 Peaches)’, 홍콩, 태국, 미국, 프랑스 합작, 감독 제니 순(Jenny SUEN), 코코 프란시니(Coco FRANCINI), 줄리에트 슈라멕( Juliette SCHRAMECK), 저스틴 오(Justine O), 로저 황(Roger HUANG).
▲NAFF상(NAFF Award, 상금 1천500만원)= ‘헝그리 고스트 다이너(Hungry Ghost Diner)’, 말레이시아, 감독 웨 준 초(We Jun CHO), 벤지 림(Benji LIM), 이 본 리(Yve Vonn LEE).
▲아시아의 발견상(Discovery of Asia Award, 아시아 신인상, 상금 1천500만원)= ‘치유의 땅(The Land of Healing), 베트남, 감독 호앙 레(Hoang LE), 탄 쩐(Thanh TRAN)).
▲한국의 발견상(Discovery of Korea Award, 한국 신인상, 상금 1천500만원)= ‘E.S.P.’, 한국, 감독 정재훈, 고유희.
▲NAFF 코리안 어워드(NAFF Korean Award, 상금 1천만원)= ‘공작새(Peacock)’, 한국, 감독 변성빈, 봉수지.
▲NAFF 코리안 어워드(NAFF Korean Award, 상금 1천만원)= ‘Lana4’, 한국, 감독 심요한.
▲판타스틱7상(Fantastic7 Award, 상금 1천만원)= ‘영원한 아이(Lay the Ghost)’, 한국, 감독 유은정, 박두희.
▲DHL상(DHL Award, 상금 500만원)= ‘포털, 별을 향해(The Portal)’, 시리아, 프랑스 합작, 감독 차디 아보(Chadi ABO).
◇후반 작업 지원(Post-production Support)
▲C-47상(C-47 Award, 후반 작업 지원- 색보정ㆍDI)= ‘화이트 킹(The White King)’, 한국, 감독 유은정, 박두희.
▲모카차이상(Mocha Chai Award, 후반 작업 지원)= ‘스이코(The Water Sprite)’, 일본, 감독 가네코 마사카즈(KANEKO Masakazu), 가타야마 다케시(KATAYAMA Takeshi).
▲SBA상(SBA Award, 후반 작업 지원- *지원 범위는 작품별로 색보정ㆍDI, 사운드 믹싱ㆍSound Mixing, -디지털 마스터링ㆍDCP 등 각각 다름)= ▴‘1번국도(Route1)’ 한국, 감독 강경태, 이지영 ▴‘끝까지 달린다(Run Run Run!), 한국, 감독 김원진 ▴’마인드 유니버스(Mind Universe), 한국, 감독 김진무, 김경선 ▴‘사잇소리(Exist Within)’, 한국, 감독 김정욱, 정민아 ▴‘지구별 방랑자(Earth Vagabond)’, 한국, 감독 유최늘샘 ▴‘청춘하라(Be Young)’, 한국, 감독 신재명, 김주한.
| AD |
한편, 제2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2021)는 ‘이상해도 괜찮아(Stay Strang)’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지난 8일 개막,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제24회)에 이어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열려 지난 15일 무관중 온라인으로 폐막식을 가졌다. ▶관련기사 클릭
극장 중심의 오프라인 상영은 7월 15일까지 끝마쳤고, 온라인 상영은 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플랫폼 ‘웨이브’(wavve.com/bifanㆍ바로 가기 클릭)를 통해 7월 18일까지 6개 섹션 수상작을 앙코르 상영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리는 ‘비욘드 리얼리티’도 7월 18일까지 80여 편의 XR(eXtended Realityㆍ확장현실) 작품을 체험할 수 있다. *BIFAN 공식 홈페이지(wwww.bifan.krㆍ바로 가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