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회째를 맞는 NAFF의 ‘잇 프로젝트’ 17편, ‘프로젝트 스포트라이트’의 인도 프로젝트 4편, ‘노르딕 장르 인베이전’ 3편, ‘블러드 윈도우’ 1편이 각각 선정됐다.
선정된 작품들은 오는 7월 14일부터 5일간 열리는 B.I.G NAFF 기간 동안 현금 제작비와 후반작업 지원을 받는 NAFF 어워드 부문의 수상 후보로 참여하며, 전 세계 장르영화 제작, 투자 및 배급 관계자와 비즈니스 미팅 기회를 갖고 공동 제작과 투자 유치에 나서게 된다.
전도유망한 아시아 판타스틱 영화 프로젝트 발굴 ‘잇 프로젝트’
올해는 ‘인도’ 장르영화 집중 조명 프로젝트 스포트라이트 진행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지난 2008년 시작한 세계 최초 영화 프로젝트 마켓인 ‘NAFF 잇 프로젝트’는 올해 아시아를 비롯한 남미, 유럽 등 43개국에서 243편이 접수돼 점차 높아지고 있는 BIFAN의 위상을 실감케 했다.
영화제 사무국은 “수준 높은 작품들이 몰려 최종 선정작 결정에 상당한 심사 시간이 소요됐다”며 작품의 독창성, 장르 충실도, 완성 가능성이 높은 한국 프로젝트 4편을 포함해 15개국 17편의 작품을 ‘NAFF 잇 프로젝트’ 공식 선정작으로 최종 선정했다.
한국 프로젝트로는 잠재 능력을 증폭시키는 ‘능력의 돌’을 알게 된 여고생들의 욕망을 그린 판타지 공포 스릴러 <능력소녀>(김수영 감독)와 과거에 일어난 비극적 사건을 되돌리기 위해 또 다른 평행 우주를 여행하는 <다시 봄>(전인환 감독), 2018 애리조나영화제 공식 초청작이자 여성의 용기를 다룬 탁월한 장르영화라는 찬사를 받은 ‘데스트랩’ 오인천 감독의 신작 <유령사진전>, 미남 미녀만 남은 세상에서 홀로 남겨진 추남의 투쟁을 담은 판타지 블랙 코미디 <가을남자(추남)>(임진승 감독)가 선정됐다.
해외 프로젝트로는 장르영화 ‘Siew Lup’(2016)으로 유명한 감독 겸 프로듀서인 샘 로의 옴니버스 유령 이야기 <지옥의 통로>와 미스터리한 섬에서 사는 한 소녀가 꿈을 꾸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판타지영화 <소녀 마틸다의 모험> 등이 선정됐다.
매년 아시아의 한 국가를 선정해 해당 국가의 장르영화 프로젝트를 엄선해 소개하는 ‘프로젝트 스포트라이트’는 올해 인도를 집중 조명한다.
작가 헨리 제임스의 ‘나사의 회전’을 각색한 <한 여자의 시련>은 인도 특유의 분위기가 어우러진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와 지난 BIFAN의 참가작이자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된 작품 ‘오토헤드’의 감독 로힛 미탈의 신작 <파라디스코>도 기대되는 작품이다.
북유럽 장르영화 프로듀서들의 연합 플랫폼 ‘노르딕 장르 인베이전’
남미 최대 장르영화산업 프로그램 ‘블러드 윈도우’ 프로젝트 선보여
NAFF는 전 세계 장르 영화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아시아 뿐 아니라 북유럽, 남미와의 영화 프로젝트 교류 협력에도 힘쓰고 있다.
‘노르딕 장르 인베이전’에는 악마에게 조정 당하면 악몽을 꾼다는 노르웨이의 판타지 호러 영화 <악몽>, 크리스마스 밤에 생존 투쟁을 벌이는 호러 코미디 영화 <붉은 눈(雪)> 등이 선정됐다.
‘블러드 윈도우’로는 올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볼리비아가 합작한 작품, 크리스토프 벨 감독의 <하얀 사막>을 만나볼 수 있다.
지난 10년간 NAFF를 거쳐간 프로젝트 중 총 40편의 프로젝트가 완성돼 판타스틱 영화 프로젝트 마켓으로서의 위력을 입증했다.
| AD |
그 가운데 <펜트하우스>(2018), <나와 봄날의 약속>(2018), <귀신 상담사>(2018), <해빙>(2017), <두 남자>(2016), <마신자>(2015, 대만 금마장영화제 폐막작), <더 테러 라이브>(2013), <공정사회>(2012) 등 완성된 작품들은 BIFAN을 비롯한 전세계 영화제와 극장을 통해 관객들과 만났다.
B.I.G NAFF는 오는 7월 14~18일까지 5일간 진행되고, 공식 선정작들은 엄정한 심사를 통해 약 3천600만원 규모의 제작 지원비 및 후반작업 등을 지원받게 된다.
7월15일에는 노르딕 장르 인베이전의 감독 및 프로듀서들이 프레젠테이션을 펼치는 피칭행사, 16일에는 스포트라이트 인도의 피칭행사, 17일에는 B.I.G 폐막식을 열고 NAFF 프로젝트의 수상작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