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6월 15일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앞두고 지난해 도내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969건의 학대 행위자 유형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배우자가 341건으로 가장 많았고 아들 323건, 기관 119건, 딸 85건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2018년) 학대 행위자 유형에는 아들이 356건으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 311건, 딸 93건, 기관 83건 순이었다. 행위자 순위의 일부 변동은 있지만 가정 내 노인 학대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천78건의 학대 유형별 현황을 분석해 보면 비난, 모욕, 위협 등의 정서적 학대가 933건으로 가장 많았다.
신체적, 정신적 손상과 고통, 장애 등을 유발시키는 신체적 학대는 859건이었고, 부양 의무나 보호자로서의 책임을 거부하는 방임이 175건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도내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2천445건의 신고와 1만8천412건의 상담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노인보호전문기관은 급속한 노령화와 가족 간 갈등으로 늘고 있는 노인 학대를 예방하고 노인 학대 사례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해 그에 맞는 노인인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관이다.
경기도는 2004년 성남시에 경기동부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설립한 이후 2006년 의정부시에 경기북부 노인보호전문기관, 2010년 부천시에 경기서부 노인보호전문기관, 2019년 수원시에 경기도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설립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주요 업무는 ▲노인 학대 신고 전화 운영 ▲사례 접수 및 현장 조사 ▲노인 학대 예방·재발 교육과 홍보 ▲노인 학대 사례 판정위원회, 사례 회의 운영 등이다.
지난해에는 상담 1만8천412건, 복지서비스 연계 2만3천685건, 노인 학대 예방·재발 교육 433회, 언론 홍보 1만1천824회 등 노인 학대 예방과 권익 보호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올해는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총 16억여 원을 투입해 경기도사회서비스원에서 위탁 운영 중이다.
누구든지 노인 학대를 알게 되거나 의심될 경우 노인보호전문기관(☎1577-1389), 보건복지부 콜센터(☎129), 경찰서(☎112) 등으로 신고하면 된다.
한편, 경기도는 6월 15일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노인 학대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도내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 공동으로 6월 30일까지 ‘온라인 퀴즈 이벤트’를 진행한다. 누구든지 페이스북 등 경기도 노인보호전문기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접속해 퀴즈 정답을 맞추면 참여자 중 1천명을 추첨해 커피 모바일 상품권을 증정한다.
| AD |
이 밖에도 경기서부 노인보호전문기관은 6월 17일 ‘노인인권 존중 케어 경진대회’를 실시해 노인인권 침해와 노인 학대 예방을 위해 장기요양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천 사례들을 공유할 예정이다.
경기북부 노인보호전문기관은 경기북부지방경찰청과 함께 6월 30일까지 ‘노인학대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한다.
경기도 노인복지과는 “가족 내에서 많이 일어나는 노인 학대 특성상 예방과 근절을 위해서는 주변인들의 관심이 꼭 필요하다”며 “학대가 의심될 경우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드리고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준비한 행사에도 많이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